웹의 특징
• 처음 웹이 나왔을 때는 텍스트 서비스만을 제공했기 때문에 소수의 사람만이 사용하다가 1992년 일리노이 대학의 NCSA에서 모자익(Mosaic)이라는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프로그램(웹 브라우저)이 나오면서 웹은 인기를 더해갔다.
• 웹 문서들이 하이퍼링크(Hyper Link)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링크를 따라가면서 문서를 검색하도록 되어있어 사용하기가 아주 쉽다.
• 하이퍼링크를 이용하면 일반적인 문서와는 달리 여러 문서들 간에 연관성이 있는 문서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순차적인 검색 방법과는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문서들 간의연속적인 검색을 할 수 있다.
• 웹에는 어떠한 서비스가 있을까?
사용자는 문자, 그래픽, 소리,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정보 유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서 각종 정보, 전자 상거래, 가상 교육, 정치, 오락이나 게임,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검색해서 활용할 수 있다.
①정보 검색 ②전자 상거래 ③가상 교육 ④행정/정치 ⑤오락/게임
• 웹은 어떻게 구성될까?
- 우리가 전자 상거래를 이용해서 물품을 구입할 때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구축해서 물건을 판매하는 서버(Server)가 존재하고, 이러한 서버에 접속해서 물건을 구입하는 클라이언트가 있다.
- 클라이언트(Client)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로 불리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HTTP를 통신 규약으로 사용하여 웹 서버에 접속한다
브라우저란?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버로부터 웹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번역하고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웹 문서뿐만 아니라 FTP, 뉴스 그룹 등의 서버에 접속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익스플로어의 구성
익스플로러를 바탕화면에서 단축아이콘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한다.
초기화면의 구성은 메뉴 표시줄, 제목 표시줄, 도구상자, 주소 입력줄, 웹 문서 표시 영역, 상태 표시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메뉴 표시줄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하기 위한 여러 기능들이 메뉴 형식으로 존재한다.
• 제목 표시줄
현재 웹 문서의 인사말이나 홈페이지 이름 등을 표시한다.
• 도구 모음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을 아이콘화 하여 제공하는 기능으로 일반 사용자들은 도구 모음의 기능만으로도 웹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 주소 표시줄
현재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주소)를 나타나거나 접속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주소를 이곳에 직접 입력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 웹문서 내용
웹 문서의 내용을 번역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 상태 표시줄
브라우저의 가장 아래 부분에 있는 상태 표시줄은 여러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 정보 사냥
웹 브라우저에는 음란물 및 폭력물을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설정된 웹 사이트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내용이 있는 웹 사이트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익스플로러의 메뉴에서 [도구] → [고급]을 선택한다.
② 인터넷 옵션 대화상자에서 내용 탭으로 이동한다.
③ 내용 탭에는 사용 버튼을 누르면 내용 관리자 대화상자에서 이러한 등급을 정할 수 있다.
브라우저의 기능
• 홈페이지는 어떻게 열까?
인터넷을 통해서 웹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HTML 내용을 우리들이 보기 쉽도록 보여주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해야 한다.
• 웹 문서는 어떻게 저장할까?
웹 문서를 참조하고나 메모장과 같은 에디터로 HTML 문서를 작성하면 웹 문서를 저장해야 한다. 웹 문서를 내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즐겨 찾기는 어떻게 사용할까?
즐겨 찾기는 자주 접속하는 웹 사이트를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하는 곳.
• 웹 문서의 소스는 어떻게 볼까?
작성된 웹 문서의 구조나 HTML 내용을 알고 싶을 때는 웹 무서의 소스 내용을 열어보면 된다.
• 웹 브라우저의 옵션은 어떻게 설정할까?
인터넷 옵션에서는 각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익스플로러의 사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