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접속 방법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전용회선 서비스,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가입을 하여야 한다.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는 KT, 하나로텔레콤, 파워콤, 드림라인, 데이콤, SK텔레콤, 지역방송 케이블TV 업체 등이 있다.
회선 종류에 따른 접속 방법
• 전화선을 통한 접속
과거 인터넷 사용자들은 전화선과 모뎀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고 사용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 케이블망, ADSL, HDSL(초고속통신망)
1998년 두루넷을 통해 처음 시작된 가정용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1998년 말 5만명에 불과하던 가입자수가 100만 명이 넘어, 앞으로도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 ISDN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어로 전송/교환 디지털화된 별도의 데 이터 전송회선을 말한다. ISDN을 이용하면 하나의 회선으로 전화뿐만 아니라 PC통신, 팩스 등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전용선을 통한 접속
데이터 송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회선(전용선)을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회사나 기관의 서버 컴퓨터에 전용선이 연결되어, 회사의 서버 컴퓨터로부터 분기되어 나온 통신선을 통해 각 개인들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다.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서비스 방식으로 보면 크게 ADSL, HDSL, 케이블망으로 나눌 수 있다.
• ADSL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은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망으로 기존의 구 리 전화선을 통해 일반 음성통화는 물론 데이터 통신을 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가 입자 회선 서비스(xDSL) 중에 하나이다.
ADSL은 데이터를 실어 나를 때는 음성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동시 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으며, ADSL 교환기가 있는 전화국에서는 인터넷 서 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VDSL
VDSL은 대칭형, 비대칭형이 있으며 다운로드의 경우 최대 52Mbps의 속도를, 업로드의 경 우는 최대 26Mbps로 xDSL 중에서 가장 속도가 빠르다. 특히, 수신자가 요청한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멀티캐스팅 기능이 가능하여 주문형 비디오(VOD) 및 고화질 TV(HDTV) 등 다양 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 HDSL
HDSL은 ADSL과 달리 양방향의 대역 폭 크기가 같은 대칭형으로,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 가 같다. 대부분 2쌍(4가닥)의 전화선을 사용하지만, 유럽 일부에서는 3쌍의 전화선을 사용 하기도 한다.
• 케이블망
케이블망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은 전화선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전화와 인터넷을 같이 쓸 수 있고, 인터넷은 케이블TV와 다른 주파수를 쓰기 때문에 TV를 보는 것에도 전혀 영향이 없다.
하지만, 케이블망이 있는 지역에만 서비스를 할 수 있고, 케이블 모뎀이 표준화되지 않아 모뎀에 따라 속도가 차이가 나고, 많을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도 같도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