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mkexdev.net/71
웹에서의 서버푸시 방법들에 대해서 여러가지를 비교해서 보여준 블로그이다.
http://corund.net/blog/entry/%EC%9E%90%EB%B0%94-%EC%84%9C%EB%B8%94%EB%A6%BF-%EC%BB%A8%ED%85%8C%EC%9D%B4%EB%84%88%EC%9D%98-Comet-%EC%A7%80%EC%9B%90-2---Tomcat
comet예제를 중요 부분 코드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보여주고 있다.
jetty라는 was예제를 참고하라고 하는 것이 앞선 예제 설명 블로깅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http://namocom.tistory.com/entry/%ED%86%B0%EC%BA%A3-Comet
comet을 tomcat에서 작성하려면 server.xml에서 Connector설정을 어떻게 하면 되는지 각각의 커넥터 설정의 속성과 속성값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이 있다.
예제는 없음
http://namocom.tistory.com/113
comet을 테스트 해보기 위한 이클립스 설정
나의 경우 이대로 따라 했음에도 알맞은 화면이 나오지 않았다.
405에러가 났다.
http://namocom.tistory.com/114
comet에서 현재 상태를 구분하는 객체인 event의 타입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것만 봐서는 이해 할 수가 없다.
http://www.okjsp.net/bbs?seq=131233
okjsp의 코멧에 대한 블로그를 모아놓은 사이트, 다음 카페의 채팅이 이것으로 구현 되었다고 한다.
http://kenu.github.io/tomcat70/docs/aio.html#Introduction
한글화된 톰캣 문서의 comet 섹션이다.
http://mygony.com/archives/2535
코멧 클라이언트로 js나 iframe등을 쓰는 방법들을 나열하였다.
서로 비교를 하고 있으나 comet을 처음 접한다면 나중에 읽을 것을 추천한다
http://www.slideshare.net/deview/hello-world-cometsocketio
슬라이드 셰어의 comet과 socket.io에 대한 설명
그림으로 된 설명이 직관적이고, 개괄적인 이해를 쉽게 한다. 처음 서버푸시에 대해 공부할때 보면 좋을 것 같다.
http://jinsepi.blog.me/100104020522
진리의 티거님 사랑합니다! 라고 생각했으나 원본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yewon.egloos.com/2335303
Corund님의 사이트를 보고 소스를 쳐서 올린 모양이다.
톰캣의 예제인 줄 알고 있었는데
jsp파일이 WEB-INF폴더에 있는 것이
이게 jetty방식인가 싶기도 하다
여튼 그대로 따라서 쳐보았는데 잘 돌아갔다.
물론 이클립스가 아닌 서버에 올리고 돌려보았다.
돌려보니 ajax 폴링 방식이랑 비슷한데 재요청기간이 comet 연결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으로 늘어나는 것 같다. 그리고 여러 브라우저에서 폴링이 되는 것이 신기했다.
나의 경우 약간 문제가 있는 부분은 한 PC에서 두개의 채팅창을 켰을 경우에 푸시를 해서 전송한 내용이 잘 전달이 안되고 하는 부분이 있었다. 다른 PC간의 통신은 잘 이루어 졌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