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1세대 통신 : 유선통신 - 1839년 모스(S. F. Morse)가 발명한 전신기로 모스 부호
2세대 통신 : 통신의 대중화 - 1876년 벨(A. G. Bell)이 전화를 발명함
전파 통신 : 무선통신 - 1897년 마르코니(G. Marconi)의 전파 통신
네트워크 : 2대 이상의 컴퓨터를 케이블 등으로 연결해 놓아서 서로 유익한 정보나 자원들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놓은 시스템을 말한다.
네트워크의 종류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 여러 대의 컴퓨터와 주변장치가 전용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로 서, 그 규모가 한 사무실, 한 건물, 한 학교 등과 같이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망): 통신 서비스의 일종으로서 서비스 업자가 통신 회선을 임대해서 이를 컴퓨터 와 결합하여 정보의 축적, 처리, 수정하여 새로운 형태의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VAN을 이용하면 서로 다른 업종, 업체간의 접속으로 새로운 사업분야의 개발이 가능하고, 데이터 통신의 효율향상으로 통신비용의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WAN(Wide Area Network; 광역통신망) : WAN이란 지리적으로 흩어져 있는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통 LAN의 범위는 1개의 빌딩이나 학교, 연구소 및 생산공장 등의 일정 구역내인 것에 반해, WAN은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것으로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 또는 대륙과 대륙 등과 같이 지리적으로 완전하게 떨어져 있는 장거리 지역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통신망이다.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 :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전화, 팩시밀리, 컴퓨터통신 등의 각종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한 정보 통신망이다. 이는 현재 별개로 운영되는 전화망, 컴퓨터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는 것으로, 음성이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나 화상을 모두 디지털화하여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이란
인터넷이란 INTERnational NETwork의 준말로 말그대로 전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LAN이나 WAN 같이 지역적인 한계에서 벗어나, 전세계의 모든 네트워크를 광케이블이나 통신 위성으로 서로 연결한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은 수많은 네트워크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인터넷의 발생과정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Network)은 특정 지역의 폭탄 폭격과 같은 긴급사태에서도 장애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통신망 구축
최초의 대학 패킷 교환망과 TCP/IP 출현
1973년 말에 개발된 TCP/IP 프로토콜로 인해 기존 ARPANET 구성의 어려움들을 해결가능.
TCP/IP 프로토콜은 이기종 시스템간에 요청 명령의 균일한 해석, 다양한 네트워크 종류에 상관없이 통신 컴퓨터 사이(Point-to-Point)의 상호 안정된 통신의보장, 데이터 전송장애에 대한 효과적인 복구 능력을 제공.
대중 통신망의 발전과 웹(WWW)의 출현
웹은 초기에 고퍼 (Gopher)의 그늘에 가려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1993년 미국 NCSA가 GUI를 지원해 주는 모자이크라는 웹 서비스 이용 도구를 만들고 부터 인터넷의 세계에서 돌풍을 일으키기 시작 하였다.
인터넷과 관련된 기관들
NSE(National Science Foundation)
미국의 국립과학재단, 미국의 백본(backbone)을 관리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TCP/IP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배하는 책임을 가진 기구
인터넷에 연결된 개별 기관들의 네트워크와 시스템에 유일한 이름과 주소를 배정
ISOC(Internet Society)
1992년 1월에 조직된 비영리기구로서 인터넷의 발전과 사용이라는 목표를 가진 인터넷 관련 단체
한국 전산망 협의회(KNC : Korea Networking Council)
목적 : 국내 전산망 조직간의 운영 및 관리의 체계적 수립
기능 : 국내 전산망의 이름 및 주소 할당, 국내 전산망의 연동조정 및 보급확산 정책 수림, 해외 전산망과의 연결 조정, 국제 인터넷 관련 기구에서의 한국대표역할 수행, 국내 전문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인터넷 관련 표준안 제정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of Korea)
도메인 및 IP 등 인터넷주소 자원의 관리를 기본업무로 인터넷 활성화, 차세대 인터넷주소 자원 연구개발, 인터넷 이용행태조사 및 인터넷관련 국제 활동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KrCERT/CC:KOREA Emergency Response Team Coordination Center)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산망의 침해사고 대응 활동을 지원하고, 전산망 운용기관등에 대해 통일된 협조 체제를 구축하여, 국제적 침해사고 대응
IP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주소를 IP(InternetProtocol) 주소라고 한다. IP 주소는 32bit 숫자를 8bit 씩 4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점(.)으로 구분해서 각각은 10 진수로 표시하고,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할당, 관리한다
!IP어드레스의 구조 정리할 것
IP와 도메인 주소란
IP 주소는 IP번호(IP number)라고도 부르며,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주소를 네 자리로 구분된 10진수 숫자(dotted quad format)로 표현한 것이다.
IP 주소는 각 자리를 구분 점(dot)으로 구분하는데, 각 부분은 0 ~ 255(28 = 256)까지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IP 어드레스는 도메인 네임(Domain Name)과 같이 전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숫자로 부여된 IP 주소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단어식으로 표현해 놓은 주소체계를 말한다.
기억하기 쉬운 영문자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은 DNS를 통해서 컴퓨터가 사용되는 IP 주소형태로 번역되어 사용된 것이다.
DNS 란
컴퓨터가 통신하고자 하는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이루어진 인터넷 주소로 바꾸기 위해서는 DNS 서버에게 문의를 한다. DNS 서버는 호스트 이름과 숫자로 된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문의에 대해 답변을 해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